[이슈+] 반도체 불확실성 해소…4분기 경제 돌파구 될까<br /><br /><br />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중국공장에 대해 미국산 반도체 장비 반입을 무기한 허용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대통령실은 우리 반도체 기업의 최대 통상 현안이 일단락됐다고 평가했는데요.<br /><br />미국의 이 같은 조치가 향후 반도체 산업에 미칠 영향은 무엇일지,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 소장과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먼저,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중국공장의 상황부터 짚어볼게요. 현재 우리 기업의 중국공장 반도체 생산량은 어느 정도나 차지하고 있는 건가요?<br /><br /> 그동안 우리 반도체 기업은 중국공장 가동에 필요한 물품 일부를 미국에서 조달을 해왔는데요. 문제는 이에 대한 규제를 유예받는 기간이 곧 만료될 예정이었다는 겁니다. 그래서 정부와 업계 모두 미국 정부와 긴밀하게 협의해왔다고 하던데요?<br /><br /> 그리고 결국 미국 정부가 한국 기업에 별도 허가 없이 반도체 장비를 공급하겠다고 결정했습니다. 특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검증된 최종 사용자를 뜻하는 VEU로 지정을 했다고 하는데요. VEU는 무엇을 뜻하는 건가요?<br /><br /> 특히 반도체 업계에선 한국 반도체 기업에 대한 미국 정부의 신뢰를 방증한다는 평가가 나오는데요. 미국의 이 같은 결정은 어떤 의미가 담긴 조치라고 보시나요?<br /><br /> 정부는 최근 반도체 수출 역시 살아나기 시작한 만큼 한국 경제가 곧 반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데요. 4분기 반도체 반등이 한국 경제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거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일단 미국의 포괄적 허가 조치로 한숨 돌리긴 했지만 안심할 수는 없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기술·장비 수출 통제와는 별개로 미 반도체 지원법을 통한 규제는 여전하기 때문인데요?<br /><br /> 게다가 7나노급 반도체를 탑재한 중국 화웨이의 스마트폰 출시를 계기로 미국이 대중 수출 통제망을 계속해서 강화해 나가는 것도 국내 업체엔 큰 부담이란 평가도 있는데요?<br /><br /> 결국 일각에선, 삼성과 SK 모두 중국 내 반도체 사업에 대한 장기적인 전략 재검토를 해야 하는 것 아니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. 미국의 대중 반도체 제재 기조가 유지되는 이상 향후 생산 비중을 축소해야 한다는 건데요. 이 같은 의견은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또 한 가지 고민해봐야 할 건, 여전히 반도체 생산에 필수적인 희토류와 이차전지 핵심 품목에 대한 중국 의존도가 높다는 점입니다. 의존도를 계속해서 줄여나가는 것도 시급한 과제로 꼽히는데요?<br /><br /> 일각에선 여전히 반도체 단지 인프라 예산은 열악하다는 지적도 있는데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